티스토리 뷰

반응형

3년 만의 개기월식, 2025년 9월 8일 새벽 무료보기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2025년 9월 8일, 무려 3년 만의 개기월식이 드디어 우리 하늘 위를 수놓습니다.

 

붉게 물든 달, ‘블러드 문’으로 알려진 이 장관은 천문 마니아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놓칠 수 없는 우주의 선물입니다.

특히 이번 개기월식은 한국 전역에서 전체 과정을 무료로 관측할 수 있으며, 새벽 시간대라는 점에서 더욱 로맨틱하고 신비로운 경험을 선사합니다. 

 

 

 

 


개기월식 날짜와 시간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 - 날짜: 2025년 9월 8일(월) 새벽
  • - 부분식 시작 (P1): 01:26:48 KST —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 - 개기식 시작 (U2): 02:30:24 KST — 달이 완전히 본그림자에 들어갑니다
  • - 개기 최대 (Greatest): 03:11:48 KST — 월식 현상이 가장 절정에 달하는 순간입니다
  • - 개기식 종료 (U3): 03:53:12 KST .
  • - 부분식 종료 (P4): 04:56:54 KST

전체적으로 2시 반부터 3시 반까지 붉은 달 관측, 이어서 약 3시 53분까지 개기월식이 이어지며, 완전히 끝나는 시점은 4시 56분입니다.

 

 

 

 


무료로 관측할 수 있는 장소 추천

개기월식은 특별한 장비 없이 전국 어디서나 무료로 관측 가능한 천문 이벤트입니다. 아래 장소들을 참고하세요.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 교외 및 시골 지역: 빛공해가 적고 시야가 탁 트여 월식의 붉은 색감을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 산 정상, 공원, 하천변: 장애물이 적어 달을 가리지 않고 관측하기 좋습니다.

- 천문대 오픈 데이 또는 관측 행사: 일부 천문대에서는 무료 관측회를 개최할 수 있으므로, 천문연구원이나 지역 천문대 SNS/홈페이지를 사전 확인해보세요.

- 예: 대전 천문대에서는 9월 7일 오후 2시 개관하여 개기월식 관측회를 예정 중입니다 .

- 강서별빛우주과학관에서도 기념 강연과 함께 관측 안내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단, 강연은 유료 8,000원) 

 

결론적으로 기본적으로 무료 관측 가능하며, 천문대 행사 참여는 일부 비용이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관측 팁과 준비사항            

장비 맨눈으로도 충분히 관측 가능하며,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이 있으면 더 생생한 시각 효과.
사진 촬영 팁  삼각대 + 망원렌즈 또는 스마트폰 삼각대 고정으로 붉은 달을 흔들림 없이 담기.
의류 및 방한용품  새벽 기온이 낮을 수 있으므로 따뜻한 옷, 담요, 핫팩, 보온병 등을 챙기면 관측이 훨씬 쾌적합니다.
날씨 체크    구름 없이 맑은 하늘이면 좋으며, 기상청 예보를 사전에 확인하세요.
사전 학습   월식의 **과정과 원리 (부분식 → 개기식 → 최대 → 종료)**를 미리 파악해두면 현장에서의 감동이 배가됩니다.

- 관측 일시: 2025년 9월 8일(월) 새벽 1:26부터 4:56까지 진행

- 주요 시각: 개기 시작 02:30, 최대 03:11, 종료 03:53 (부분식 끝 04:56)

- 장소: 전국 어디서나 무료 관측 가능 (최적지는 교외/공원/산/천문대 행사)

- 필수 대비: 장비, 방한용품, 날씨 확인, 사전 원리 숙지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3년 만의 개기월식 무료보기

반응형